Line 1

Photography







[DATA] Old Map, Gyeonin[Seoul-Incheon] Line, 1918







 I started riding the Line 1 subway when I started living in Incheon from 2013. Symbolized by the ragged, soiled and damp color of blue, Line 1 already had a reputation for being outdated compared to the other lines because its old trains run one of the first railways in Korea, and its routes start from Incheon passing through Guro to Seoul Station and Jongno.

 When traveling to Incheon from Seoul, you will see people with dazed faces waiting for the express train at Yongsan station, who would race for the empty seats when the empty train arrives and opens its doors. With some luck you will find a space to sit on the mold smelling navy blue velvet seats. Then a crippled man who’ve already passed through more than half of the cars would approach and leave a note describing his life story on top of my properly closed knees. I raise my eyes to see if that man is really the same person who was waiting for the train with me. After the man exists, his legs sweeping the floor, only a moment of piece is allowed before a God devoted enthusiast intrudes while shouting incomprehensible words. He is followed by a peddler selling different things by the season, making a scene until he moves onto the next car. People I see every day across the aisle avoid each other’s eyes, praying the time would pass quickly so that they will arrive at their destinations.

 Subway Line 1 runs aboveground from Noryangjin to Incheon and there aren’t any tunnels in that section either. The train takes in the seasons fully as the weathers change, shedding light on the wide range of lives occupying the cars. The sceneries out the window too quickly disappears with the railway speed, and transform into a fascinating abstract painting. Turn the head away from the fatiguing sceneries to the interior of the car and without an exception people of reality have their lips tightly sealed and are staring in space.

 9 am, September 18, 1899, Mogul tank steam locomotive departed from Noryangjin and traveled 33 kilometers to Jemulpo. It was at that moment when the Korean Empire entered the era of railroads. The Gyeongin Line established in early 20th Century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to exploit their colony, was the pipeline delivering western cultures and goods into the heart of Korean Peninsula. When the export driven policies were implemented from the 1960s, the line became the backbon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inally in 1974 with implementation of the Gyeongin Line electrification program, the line was named Subway Line 1 and is now a major transportation route in the metropolitan area, shuttling Seoul and Incheon.

 Gyeongin Line still carries people traveling between Incheon and Seoul. Stations built at the time of the railway’s opening still exist as part of the city. While heading to Incheon from Seoul, Line 1 one by one drops off people pushed out of Seoul. As the train approaches Incheon Station, the surrounding buildings become more worn out and their heights lower.

 Only those looking somewhat anxious are left in the car, like some old men going to see the MacArthur statue or the Korean Chinese speaking Korean oddly mixed with Chinese. I exist in the car as part of them. Passengers on Line 1 become a contemporary scenery, appearing like a ghost and disappearing into thin air.

 People who were fiddling with their smart phones as their shoulders bumped into each other, walks away from the Incheon station platform and hastily scatters away. I follow them to meet the lives spread around the railroad tracks. The Korean Chinese return to their wooden houses in China Town while the old men head to the Freedom Park.

 Era is the creator of sceneries. The modern civilization from a century ago gave birth to the sceneries and as the era have changed so did its functions, now producing the new images in the time of early 21st century. Sit still in a space, while it’s unknown whether the space is Seoul or Incheon, and travel back a hundred years and arrive at Jemulpo. The Line 1 names not voiced in Gyeongseong (old name for Seoul) scatter along the routes heading to Seoul to build up their own lives. Walk the 26 stations from Incheon to Noryangjin to find the inevitable encounters disguised as coincidences. Scenes of the era sliding off from the car windows come into firm shapes with their own time and space. Line 1 is a photographic documentation of the lives, moments and sceneries floating around the railroads, captured during the walk of 26 stations in between incheon and Noyrangjin along the Gyeongin Line of 1899, before the Hangang Railroad Bridge was built.






 2013년 인천에 새 터전을 마련하면서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낡고 더럽고 눅눅한 파란색으로 상징되는 1호선은 최초의 철로를 달리는 구식 열차라는 점, 인천에서 출발하여 구로를 지나 서울역과 종로를 통과하는 열차라는 점 때문에 다른 지하철 노선에 비해 낙후된 이미지였다.

 서울에서 인천을 가자면 용산역에서 급행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어딘가 모자란 표정을 짓고 있다가 텅 빈 지하철 문이 열리면 질주하듯 빈 자리를 찾아간다. 운이 좋아 곰팡내 묵은 군청색 벨벳 시트에 앉으면 일찌감치 10량 객차의 중반을 건너온 앉은뱅이가 가지런히 모은 나의 무릎 위에 구구절절 사연이 적힌 쪽지를 버리듯 놓고 지나간다. 분명히 나와 함께 용산역 플랫폼에 서서 기다리던 그 사람이 맞는지 눈을 돌려 확인한다. 그가 바닥을 쓸고 지나간 후 조금 쉴 만하면 하나님을 외치는 신도가 들어와서 알아듣지도 못할 말을 지껄이고, 뒤이어 계절에 따라 품목을 달리하는 행상인이 등장해 목청 높여 떠들다 옮겨 간다. 통로를 사이에 두고 매일 만나는 사람들은 서로 눈도 마주치지 않은 채 어서 이 시간이 흘러 도착지에 이르기만을 기다린다. 지하철 1호선은 노량진역에서 인천역까지 지하로도 터널로도 지나가지 않아 날씨가 변하는 대로 계절을 온전히 받아들이며 객차를 점유한 다양한 인간 군상을 비춘다. 차창 밖 풍경 역시 열차 속도에 맞춰 빠르게 사라지며 매혹적인 추상화로 변신한다. 풍경에 지쳐 갈 때쯤 다시 객차 안으로 고개를 돌리면 어김없이 현실의 사람들은 입을 굳게 다물고 멀뚱히 허공을 응시한다.

 1899년 9월 18일 오전 9시, 미국산 모갈(Mogul) 증기기관차가 노량진을 출발해 제물포까지 33킬로미터 구간을 질주했다. 대한제국이 철도 시대로 진입한 순간이었다. 20세기 초 일제의 경제 수탈을 목적으로 건설된 경인선은 서구 문물이 한반도 중심부로 유입되는 통로였다. 1960년대부터는 수출 주도 정책이 추진되면서 산업화 도시화의 중추로 탈바꿈한다. 마침내 1974년, 경인선 전철화 사업으로 지하철 1호선이라 명명되며 서울과 인천을 오가는 광역 도시권의 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한다. 경인선은 아직도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사람들을 실어 나른다. 철로 개통 당시에 들어선 역들도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 도시를 묘사한다.

 서울에서 인천으로 오는 동안 1호선은 서울에서 밀려난 사람들을 하나 둘씩 떨어뜨린다. 열차가 인천역으로 가까워 갈수록 건물들이 낡고 낮아진다. 객차에는 맥아더 동상을 보러 가는 할아버지들이나 한국말과 중국말을 기묘하게 섞어 쓰는 화교처럼 어딘지 모르게 불안해 보이는 사람들만 남았다. 나 역시 그중 하나가 되어 빠져나온다. 1호선에 탄 사람들은 단지 동시대의 풍광이 되어 유령처럼 나타났다가 연기처럼 사라진다. 어깨를 부딪치며 옆에 앉아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렸던 사람들은 인천역 플랫폼을 벗어나 재빨리 어디론가 흩어져 간다. 그들을 뒤쫓아 철로 주변에 펼쳐진 삶을 만난다. 화교들은 차이나타운의 목조 주택으로 들어가고 할아버지들은 자유공원을 찾는다.

 시대는 풍경을 만든다. 한 세기 전에 만들어진 근대 문물은 풍경을 낳았으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쓸모를 달리하면서, 지금도 21세기 초반이라는 시간 배경 아래 새로운 이미지를 생산 중이다. 서울인지 인천인지 모를 공간에 멈춰 앉아 백 년이라는 시간을 거슬러 제물포에 닿으면 경성에서 호명받지 못한 이름들이 서울로 향한 루트를 따라 나름의 삶을 갖추며 산개해 있다. 인천역에서 노량진까지 26개 역을 걸으면 우연인 듯 인연을 가장한 필연적인 만남이 이뤄진다. 차창에서 미끄러진 시대의 풍경들이 장소와 시간을 갖추고 분명한 형태를 갖춘다. <1호선>은 한강철교가 준공되기 전인 1899년 당시 경인선을 따라 인천과 노량진 사이에 있는 26개 역을 걸어 다니며 철로 곁을 떠다니는 인간 군상과 일상 그리고 풍경을 촬영한 사진 도큐먼트다.




















©2009-2019 Gihun Noh All right reserved